영유아 예방접종이 중요한 이유
아기가 세상에 태어나면서부터 다양한 바이러스와 세균에 노출됩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는 감염병에 걸릴 위험이 높기 때문에, 예방접종을 통해 질병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할 수 있는 주요 질병은 다음과 같습니다:
- B형간염
- 결핵(BCG)
-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DTaP)
- 소아마비(IPV)
- 폐렴구균
-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MMR)
영유아 예방접종 기본 일정표
질병관리청에서 권장하는 표준 예방접종 일정표를 참고하면 됩니다.
접종 종류권장 접종 시기
B형간염 | 출생 직후, 1개월, 6개월 |
BCG(결핵) | 출생 후 4주 이내 |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 2, 4, 6개월, 15 |
IPV(소아마비) | 2, 4, 6개월, 4~6세 |
MMR(홍역·볼거리·풍진) | 12 |
폐렴구균 | 2, 4, 6개월, 12~15개월 |
Tip: 백신별 간격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접종을 놓친 경우라도 "지연 접종"으로 보완할 수 있으니 걱정 마세요.
예방접종 전후 주의사항
접종 전
- 아기의 건강상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발열, 설사, 기침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연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예방접종 수첩을 지참하여 이전 접종 기록을 확인합니다.
접종 후
- 30분 정도 병원에 머물며 이상 반응을 관찰하세요.
- 접종 부위는 깨끗하게 유지하되, 마사지하거나 문지르지 않습니다.
- 고열(38.5도 이상)이나 심한 부작용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FAQ)
Q1. 아기가 감기 기운이 있을 때 예방접종을 해도 될까요?
A. 미열이나 가벼운 기침은 접종에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고열이나 전신 증상이 심할 경우 연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예방접종 후 해열제를 먹여야 하나요?
A. 접종 후 발열이 있을 경우, 의사가 처방한 해열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방 차원에서 미리 먹이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Q3. 무료 예방접종 대상은 누구인가요?
A.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무료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영유아 예방접종은 아이의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표준 일정에 맞춰 접종하고, 이상 반응에 주의하는 것만으로도 대부분의 심각한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어요.
우리 아이의 건강을 위한 예방접종, 오늘 바로 확인해보세요!
'육아톡톡 > 톡톡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경제, 6년 연속 잠재성장률 밑돌 전망…무슨 의미인가? (1) | 2025.05.01 |
---|---|
영유아 응급상황,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대처하세요 (1) | 2025.05.01 |
영유아 시력 발달 단계와 눈 건강 관리법 (0) | 2025.04.29 |
신생아 선별검사, 왜 꼭 받아야 할까? (1) | 2025.04.23 |
신생아 4계절 옷 그리고 시기별 사이즈 가이드 완벽 정리!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