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톡톡/톡톡꿀팁

신생아 딤플 증상: 원인부터 치료까지 총정리

by 천방둥절 2025. 2. 19.

신생아의 엉덩이 부분에 작은 함몰이 보이는 경우 딤플(dimple)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정상적인 피부 구조의 일부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드물게 척추와 관련된 선천적 질환과 연관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신생아 딤플 증상의 원인과 치료 방법,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신생아 딤플 증상의 원인

신생아 딤플은 주로 천골(엉치뼈) 부위에 나타나며, 발생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상적인 피부 구조

대부분의 신생아 딤플은 선천적으로 형성된 피부 함몰부위일 뿐이며, 특별한 건강 문제를 유발하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딤플 주변에 피부 변색이나 염증이 없고, 깊이가 깊지 않으며, 외부 자극에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2. 선천성 신경관 결손

드물지만, 신생아 딤플은 태아의 신경관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신경 손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이분척추와 연관된 딤플의 특징
    • 딤플이 깊고 크다
    • 주변에 털이 나거나 피부 변색이 있다
    • 이중 딤플이 보인다
    • 딤플 부위에서 분비물이나 진물이 나온다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신경학적 검사가 필요합니다.

3. 피부 낭종 또는 동정맥 기형

딤플 내부에 피부 낭종(피지선 낭종)이나 혈관 기형이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염증이 발생하거나 감염이 동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신생아 딤플의 진단 방법

신생아 딤플을 확인한 후, 정상적인 피부 구조인지, 신경학적 문제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진단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신체검진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육안으로 딤플의 크기, 깊이, 주변 피부 상태 등을 평가합니다. 정상적인 딤플이라면 추가 검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2. 초음파 검사

생후 6개월 이전에는 척추 초음파 검사를 통해 신경관 결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 초음파 검사가 필요합니다.

  • 딤플이 깊거나 크다
  • 딤플 주변에 털이나 피부 변색이 있다
  • 배변 및 배뇨 문제가 동반된다

3. MRI 검사

신경관 이상이 의심될 경우,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통해 척추의 구조를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MRI는 수면 진정이 필요할 수도 있어 생후 6개월 이후에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생아 딤플의 치료 및 관리 방법

신생아 딤플은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1.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경우

단순한 피부 함몰이라면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딤플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감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 감염이 동반된 경우

딤플 부위에 염증이 생기거나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 세균 감염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 항생제 치료를 진행하며,
  • 염증이 심하면 **외과적 배농(고름 배출)**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3. 척추 이분증이 있는 경우

척추 이분증이 확인되면 신경외과 또는 정형외과에서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 경미한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를 지켜볼 수 있으며,
  • 신경 이상이 동반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신생아 딤플 관리 시 주의할 점

신생아 딤플이 있는 경우, 부모님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1. 딤플 부위의 위생 관리

  • 배변 후 깨끗하게 닦아주고 완전히 건조시킨다.
  • 딤플 부위에 과도한 자극을 주지 않는다.
  • 분비물이나 붉은 기운이 있는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한다.

2. 성장 과정에서의 변화 관찰

  • 딤플이 점점 깊어지거나 크기가 변하는지 확인한다.
  • 배변 또는 배뇨 장애가 동반되는지 살펴본다.

 

 

신생아의 건강을 위해 주의 깊은 관찰과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적절한 대처를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